각막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얇아지면서 돌출되어 종모양과 비슷하게 각막모양이
변형되어 부정난시가 생기고 시력이 떨어지고 교정이 안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정상안
원추각막
원추각막의 원인
원추각막의 원인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는데 현재 유전적 요인은 DNA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환경적 요인은 잦은 눈 비빔 습관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성
전신질환 영향
잦은 눈비빔
콘택트렌즈 착용
자외선 노출
원추각막의치료
강막강화술
원추각막링 삽입술
원추각막용 렌즈착용
각막이식술
01
각막강화술
각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결합력을 높여서 각막을 튼튼하게 만드는 수술을 뜻합니다.
모든 사람이 할 수 있는 수술은 아니며 각막의 두께가 충분할 때 수술이 가능합니다.
각막강화 수술시 코웨이브와 결합해서 수술하면, 부정난시가 부분적으로 교정됩니다.
1.
라식 / 라섹 수술 후 각막의 실질부에 VibeX를 흡수시킵니다.
2.
도포한 용액을 씻어냅니다.
3.
각막강화 프로그램으로 UVA(자외선)을 조사합니다.
각막강화술 + 안내렌즈 삽입술
각막강화술로 원추각막 치료
1달 이후
안내렌즈 삽입시술
EVO+아쿠아 ICL 수술은 라식, 라섹 수술과 달리 각막을 보존하면서
눈 속에 렌즈를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입니다.
02
원추각막링 삽입술
각막 실질내에 반원형태의 고리를 삽입하는 링삽입술입니다.
돌출되어 있는 각막에 링을 삽입해 각막을 주변부로 잡아당기는 효과로 인해 각막이
펴지게 되며, 원추각막을 완화시키고, 근시도 교정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링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각막의 두께가 너무 얇지 않는 것이 좋으므로,
간혹 원추각막 진행이 너무 많이 된 경우에는 수술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질환 초기에 링을 삽입하기도 합니다.
03
원추각막용 렌즈착용
원추각막 초기나 각막이 어느정도 안정된 경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각막에 잘 맞는 하드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원추각막의 진행도 어느정도 늦추면서
비교적 깨끗한 시력을 유지해줍니다.
가장 쉽게 접근해 볼 수 있는 수술법이며 교정시력이 안경보다 조금 더 나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장시간 착용시 통증과 이물감이 있을 수 있으며 진행이
지속되면 다른 방법을 시도해야 합니다.
불규칙한 각막에 착용해야 하므로 렌즈를 맞출때, 보다 정교한 피팅이 요구됩니다.
04
각막이식술
가장 고전적이며 성공률이 높은 수술입니다. 하지만 거부반응이 나타나면 평생을 고생할 수 있습니다.
이식 후 1년 이상의 회복기간이 소요되므로, 최대한 늦게 받는게 좋습니다.
1.
손상된 각막제거
2.
각막기증
3.
각막 봉합
눈 비빔 습관은 각막에 지속적인 충격을 주어 질병의 진행을 빠르게 할 수 있기에 눈을 비비지 않는 습관이 중요합니다.